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동산] 한자로 쉽게 외우는 대지면적, 건폐율, 용적률, 연면적

by 제이커브24 2023. 2. 13.
반응형

  부동산 매물을 보다보면, 대지면적, 용적률, 건폐율, 연면적이란 표현이 나오는데 많은 사람들이 헷갈린다. 이번기회에 확실히 외우고 넘어가버리자. 

 

 

1. 대지면적

 

  먼저 대지면적을 공부해보자. 말 그대로 대지(大地) 땅의 면적이다. 100 ㎡ 땅이 있으면 대지면적은 100 ㎡ 이다. 참 쉽죠? 그런데, 심화과정으로 하나 더 배워보자. 만일 수평이 아닌 경사가 있는 땅은 어떻게 계산할까? 하늘에서 본 수평투영면적으로 계산한다. 그렇기 때문에 경사진 땅을 매수할 때에는 대지면적은 작지면, 실제로 땅의 넓이는 넓게 된다. (그렇다고 좋아할 건 없다. 경사진 땅을 평평하게 만드는데, 꽤 많은 토목비용이 든다.ㅠㅠ)

 

대지면적이란?

건축법상 건축할 수 있는 대지의 넓이를 말하는 것으로, 대지면적은 그 대지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 

 

 

 

2. 건폐율

 

 그렇다면 건폐율은 무엇일까? 잠시 한자 공부를 하자. 그래야 평생 안 까먹는다.

 

세울(=건물) 건 + 蔽가릴 폐 + 率비율

 

건폐율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대지에 건출물이 둘 이상인 경우 건축면적의 합계)의 비율을 말한다. 건폐율은 용적률과 함께 해당 지역의 개발밀도를 가늠하게 하는 척도이다.

 

세워진 건물이 땅을 얼마나 가리느냐? 그 비율을 말한다. 아래와 같이 토지에 100㎡에 건물면적이 50㎡로 지어진 경우를 생각해보자. 그러면 건물이 땅을 50% 가리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그래서 건폐율은 50%다. 참 쉽죠?  

 

 

3. 용적률

 

 용적률 역시 한자로 공부하면 쉽다. 은근 건폐율과 헷갈리기 때문이다. 

 

얼굴(=용납하다) 용 +  쌓을(=더하다) 적 + 비율 율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단, 제외되는 부분 있음)의 비율을 말한다.

※제외되는 부분 : 지하층, 지상층 주차장(건축물의 부속용도), 주민공동시설의 면적, 초고층 건출물의 피난안전구역 면적

 

"용"은 용납하다의 "용"이다. 건물을 너무 높게 지으면 주변 조망권 침해 및 안전문제가 생길수 있다. 따라서 용적률은 "허용", "용납"하는 비율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조망권 침해에 문제되지 않는 또는 안전문제와 연결되는 지하층, 지상층 주차장, 주민공동시설, 피난안전구역 등의 면적은 제외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용적률에서는 제외되지만, 단순히 바닥면적의 합계인 연면적에는 포함된다)

 

 아래와 같이 대지면적 100㎡ 에 각 층의 면적이 50㎡이 4층 있다고 가정해보자. 눈에 보이는 바닥 면적은 총 50㎡ + 50㎡ + 50㎡ + 50㎡ 으로 200㎡ 이다. 따라서 200㎡ 을 대지면적 100㎡ 으로 나누면 된다. 용적률은  200%!  

 

 
 
 
 

 4. 연면적

 

이번엔 용적률과 헷갈리는 연면적을 또 알아보자. "율"이런 표현이 없기 때문에 단순히 면적을 더하면 된다. 

 

늘일(=연달아) 연 + 面 얼굴 면 + 積 쌓을

 

 

꼭 알아둬야 할 점은 단순히 면적을 연달아 더하기만 하면 된다. 예외 없이 모두 다 더해버리면 된다. 따라서 지하층을 포함한다. 모든 층의 면적을 더한다. 아래와 같은 예시에처럼 B1층 ~ 3층까지 더하면 총 200㎡이 연면적이 되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