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부동산] 출산율과 부동산의 관계(당신이놓친사실)1편

by 제이커브24 2023. 3. 17.
반응형

 

 

1.

 

아하 지식인에 자주 묻는 질문이 출산율과 부동산 가격의 관계이다.

Q : 출산율이 계속 줄고 있는데,

그러면 인구 감소로

부동산이 하락하지 않을까요?

 

출산율 감소는 인구 감소로 이어지고, 부동산 수요의 감소로 연결된다. 수요과 공급 곡선에 따라 가격결정은 수요감소로 낮아질수 있다. 그런데, 왜 이 말이 반만 맞고 반은 틀린지 알아보자.

 

 

2.

 

① 출산율과 부동산 가격 관계를 살펴보기 전, <아동복 매출 추이>를 살펴보자. 같은 논리라면 출산율이 줄어들면 아동복 부분의 매출도 줄고 영업이익도 줄어야 한다. 그러나 아래 그래프와 같이 계상 우상향하고 있다. 왜 그럴까?

 

 

 

 

예전에는 아이를 2명 키워 기른다면, 이젠 아이를 1명 키워 기르는 추세이다. 그런 점에서 1명의 아이에게 보다 많은 경제적 지원을 할수 있다. 따라서 2명 키우는 비용이 절감된 만큼 1명에게 더욱 고품질의 교육/의복/서비스를 허락할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출생율이 줄어드는 만큼 부모 또는 비혼인 사람은 경제적 풍요속에서 더욱 좋은 부동산을 살수 있는 환경이 된다. 그런 점에서 상급지로 부동산 매물에 대해 관심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자녀에게 집을 물려주더라도 2명에게 나눠서 물려주는 것보다 1명에게 더 좋은 부동산을 상속/증여 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서울/광역시/주요 상급지의 수요는 늘게 되어 가격이 오르고 그 외의 지방은 떨어지 확률이 높다.

 

3.

 

② 두번째 접근방법은 바로 <외국인 주민의 증가>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감소하겠지만, 결국 외국인 근로자가 대한민국으로 들어오고 있다. 공장단지만 가고 중국,베트남,방글라데시 등 다양한 근로자들이 가득 차고있다. 우선 그들이 회사 기숙사에서 살기도 하지만, 점차 영역을 넓혀서 아파트에도 거주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으로 부동산 수요의 하방경직성이 있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이 쉽게 빠지지 않는다. 아마 출산율이 더 떨어지면 적극적인 이민정책을 정부가 내놓을 것이다.

 

 

 

 

4.

 

이 외에도 부동산이 다시 예전가격으로 가기 어려운 이유들이 있다. 그러나 오늘은 출산율과 관련된 내용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위에 논리는 그저 "우상향론자"인 내 생각일 뿐이다. 만일 반박하고 싶다면 참아라. 왜냐하면 반박시 당신이 맞기 때문이다 :) 농담. (반박하셔도 됩니다 ㅎㅎ 다양한 의견을 듣고 미래를 준비하는 건 꼭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반응형